웃음이 없는 하루는, 낭비한 하루다.
article thumbnail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 세액감면 차이점은?
금융 2023. 1. 11. 01:11

연말정산이면 자신이 얼마나 공제를 받을 수 있는가에 많이 궁금해하시는데요. 소득공제도 있고 세액공제라는 것도 있어서 많이들 헷갈려하십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은 과연 무엇일까요? 소득공제 소득공제는 소득이 발생하기 위해서 비용이 들어감을 인정하여서 세금 부과 대상이 되는 소득을 줄여주는 것을 뜻합니다. 즉, 돈을 벌려고 돈이 들어가는 사항들을 인정해주겠다 이겁니다. 유명한 것은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신용카드공제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세액공제 세액공제는 계산된 세액에서 또 한 번 빼주는 항목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자녀세액공제, 월세세액공제 등이 있습니다. 소득공제는 공제 이후의 세율이 곱해지므로 소득이 높을수록 감면혜택이 높아지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세액공제는 소득에 상관없이 해..

article thumbnail
2023년 연말정산 환급액 높이는 방법!
금융 2023. 1. 2. 10:24

앞서 방법을 말씀드리기 전에, 아래 2가지 사실을 인지하셔야합니다. 1. 연봉별로 신용카드 공제액이 달라요 연말정산은 국내세법에 따라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사용액에 대해서 각각 공제율을 소득에 적용하게됩니다. 여기서 공제한도가 있는데요. 총급여가 7,000만원 이하면 330만원 총급여가 7,000만원 ~ 1억 2,000만원 이하면 280만원 총급여가 1억 2,000만원 초과는 230만원 이렇게 공제한도가 낮아집니다. 2. 종류별 사용액에 따라 공제액이 달라요 연봉 뿐만 아니라 사용액의 종류별로 공제율이 달라집니다. 1. 전통시장 사용금액, 대중교통 이용분 x 40% 2. 도서/공연/박물관/미술관 사용 금액 x 30% 3.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사용 금액 x 30% 4. 신용카드 사용 금액 x 15% 보이..

article thumbnail
연말정산 언제할까? 연말정산 기간 쉽게 알아보기
금융 2023. 1. 2. 01:10

연말정산은 언제할까? 연말정산은 연봉을 전부 받은 후 다음 해 2월에 시작하게 된다. 12월분까지 모두 지급되면 1년의 총 급여액이 확정되고, 직장인의 소득세를 계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연말정산은 왜 1월이 아니고 2월에 할까? 많은 사람들이 연말정산을 1월에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다. 1월이 되면, 회사는 직원들에게 연말정산 서류를 준비해서 제출하라고 하기 때문이다. 즉, 1월은 서류 준비기간이다. 이 때문에 1월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 2월에 연말정산이 끝나면, 2월 급여가 지급될때 환급액 또는 추가 납부액 형태로 근로자의 급여에 반영이되게된다. 연말정산에 추가로 궁금한게 있다면? 2023년 연말정산 환급액 높이는 방법! 앞서 방법을 말씀드리기 전에, 아래 2가지 사실을 인지하셔야합니다...

article thumbnail
연말정산은 왜 하는걸까?
금융 2023. 1. 2. 01:02

연말정산, 왜 하는 걸까? 대한민국 세법에서는 급여를 지급할 때 회사가 일정 금액의 세금을 떼고 지급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직장인들은 월급을 받을 때마다 세금을 내게 됩니다. 그런데 월급에서 떼는 세금은 정확하게 계산된 세금이 아닙니다. 직장인처럼 매월 급여가 같은 사람이 있을 수도 있고, 자영업처럼 다른 사람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직장인들은 1년 동안 번 금액을 모두 합해서 세금을 계산해야 합니다. 월급만으로는 연봉이 최종적으로 얼마가 될지 알 수 없죠. 소득공제, 세액공제... 이런 다양한 이유의 영향도 받기 때문에 정확한 세금을 계산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국내에서는 매월 급여를 받을 때 임의로 세금을 떼고, 12/31이 지나서 연봉 총액이 확정되면 그제야 비로소 지난 1년간의 세금을 계산..

profile on loading

Loading...